IT 24

[C#] 기초 문법 - 증감연산자, 전위/후위연산자

1. 증감연산자 int vlaue = 0; value += 1; // value : 1 value++; // value : 2 value -= 1; // value : 1 value--; // value : 0 위 코드는 아래의 코드와 같다. int vlaue = 0; value = value + 1; // value : 1 value = value + 1; // value : 2 value = value - 1; // value : 1 value = value - 1; // value : 0 2. 전위/후위 연산자 1) 전위 연산자 위에서 살펴본 증감연산자 ++ 혹은 -- 가 변수의 앞에 붙은 형태를 전위 연산자라고 한다. 형태) ++value; --value; 전위 연산자는 변수에 1의 값을 먼저 증..

Language/C# 2023.08.30

[C#] 기초 문법 - 수학 연산

주제 | [C#] 기초 문법 - 수학 연산 개요 | 연산자 우선순위 서로 다른 숫자형 타입간의 연산 본문 | 1. 연산자 우선순위 이전 포스팅에서처럼 괄호() 를 사용하여 연산을 먼저 수행하게 하는 방법도 있지만, 수학 연산자 사이의 연산자 우선순위가 존재하며. 특별히 이 연산을 괄호()로 묶어주지 않는 이상, 연산자 우선순위에 의해 순위가 높은 것부터 차례로 연산이 수행된다. C#에서 기본 연산자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 =, *, /, % 수학의 PEMDAS 를 참고하면 좋다. P 괄호 (E 지수 - C#에서는 지수가 존재하지 않음) M 곱하기 D 나누기 (왼쪽부터 계산) A 더하기 S 빼기 (왼쪽부터 계산) 각 연산의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 : 곱하기 / : 나누기 + : 더하기 - : 빼..

Language/C# 2023.08.30

[C#] 기초 문법 - 숫자 타입의 변수를 활용한 string 문자열 만들기

주제 | [C#] 기초 문법 - 숫자 타입의 변수를 활용한 string 문자열 만들기 개요 | 문자열 사이에 정수형 변수와 실수형 변수를 삽입하여 콘솔에 출력하기 문자열 사이에 정수형 변수와 실수형 변수를 삽입하여 새 string 형 변수 선언하고 출력하기 문자열 출력문에서 숫자형 변수 사이에 + 연산자 수행하기 문자열 출력문에서 괄호를 사용하여 숫자형 변수 사이에 + 연산자 수행하기 본문 | 1. 문자열 사이에 숫자형 변수를 삽입하여 콘솔에 출력하기 서로 다른 자료형 사이의 연산은 형변환이 선행되어야만 가능한 것이 보통이다. 예시) float height = 160.50f; decimal pi = 3.14159m; Console.WriteLine(height + pi); // Error! 출력 결과) ..

Language/C# 2023.08.30

[C#] 기초 문법 - string 문자열 활용하기

주제 | [C#] 기초 문법 - string 문자열 활용하기 개요 | 탭, 개행문자, 특수문자 등을 포함하는 문자열 만들기 @ 지시문 유니코드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 만들기 문자열 + 문자열 문자열에 변수 값 삽입하여 문자열 만들기 본문 | 1. 탭, 개행문자, 특수문자 등을 포함하는 문자열 만들기 1) 탭 (\t) Console.WriteLine("Hello\tWorld"); // 출력 결과 : HelloWorld! 2) 개행 문자 (\n) Console.WriteLine("Hello\nWolrd!"); // 출력 결과 // 1째줄) Hello // 2째줄) World! 3) 큰따옴표 (\") Console.WriteLine("Hello \"World\"!"); // 출력 결과 : Hello "Worl..

Language/C# 2023.08.30

[C#] 기초 문법 - 묵시적 데이터 타입의 변수 선언 var

주제 | [C#] 기초 문법 - 묵시적 데이터 타입의 변수 선언 var 개요 | 묵시적 데이터 타입의 변수란? var 변수의 특징 - 변수 초기화 var 키워드를 사용하는 경우 본문 | 1. 묵시적 데이터 타입의 변수란? C# 컴파일러는 변수에 값이 할당될 때까지 해당 변수의 자료형을 정하는 것을 미루다가, 변수에 값이 할당될 때 그 값의 자료형을 참고하여 변수의 자료형으로 삼는다. 묵시적 타입의 지역변수는 'var' 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초기화한다. var 를 사용한 변수의 선언문에서는 앞서 포스팅한 자료형을 선언하지 않는다. 예시) var context = "Hello C# World!"; var 키워드는 C# 컴파일러에게 데이터 타입이 할당된 값에 의해 암시된다는 메시지를 보낸다. 타입이 암시된 ..

Language/C# 2023.08.29

[C#] 기초 문법 - Type(자료형) 그리고 변수

주제 | [C#] 기초 문법 - Type(자료형) 그리고 변수 개요 | (참고) [C#] 기초 문법 - 콘솔 출력 형식 비교 (Console.WriteLine() vs Console.Write()) [C#] 기초 문법 - Type(자료형) 콘솔 출력 예제 변수란? 변수의 선언 (Data Type별 변수 선언의 예시) 변수명 선언의 규칙과 관습 (변수 명명규칙) 변수에 값 할당하기 변수에 값 재할당하기 변수 초기화 내용 | 1. 변수란? 변수는 어떤 자료형의 값을 담는 빈 공간이며 임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 변수란, string 형의 "cat" 이라는 문자열 값을 담는 빈 상자와 같다. 변수는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값이 변하기도 하고, 다양해지기도 한다. 다른 말로 변수는 할당되고, 읽히고, 그 ..

Language/C# 2023.08.29

[C#] 기초 문법 - Type(자료형) 콘솔 출력 예제

주제 | [C#] 기초 문법 - Type (콘솔 출력 예제) 개요 | (참고) [C#] 기초 문법 - 콘솔 출력 형식 비교 (Console.WriteLine() vs Console.Write()) [C#] 기초 문법 - 콘솔 출력 형식 비교 (Console.WriteLine() vs Console.Write()) 주제 | [C#] 기초 문법 - 콘솔 출력 형식 비교 (Console.WriteLine() vs Console.Write()) 개요 | 1. Console.WriteLine(); 2. Console.Write(); 3. 참고 (주의사항) 비교 | (예시) 1. Console.WriteLine(); - 출력 형태 : 입력값을 출력 db-master.tistory.com 1. string 2. ch..

Language/C# 2023.08.29

[C#] 기초 문법 - 콘솔 출력 형식 비교 (Console.WriteLine() vs Console.Write())

주제 | [C#] 기초 문법 - 콘솔 출력 형식 비교 (Console.WriteLine() vs Console.Write()) 개요 | 1. Console.WriteLine(); 2. Console.Write(); 3. 참고 (주의사항) 비교 | (예시) 1. Console.WriteLine(); - 출력 형태 : 입력값을 출력한 후 한 줄 개행(줄바꿈, 엔터 기능) - 입력 예시 : // Console.WriteLine() 은 한 줄씩 개행 Console.WriteLine("Hello World!"); // 1째 줄 Console.WriteLine("Hello My First C#!"); // 2째 줄 - 출력 결과 : Hello World! Hello My First C#! 2. Console.Wri..

Language/C# 2023.08.29

[아키텍처] 2Tier vs 3Tier

1. 2 Tier1) 구조2) 특징클라이언트가 DB서버 내부로 직접 접속이때, 디스크에서 클라이언트 각각을 메모리에 할당함 (CPU에서 읽어서 처리하기 때문에 메모리에 올리는 데까지 시간이 소요됨)데이터 처리 요청이 없을 때도 접속을 유지하며 메모리 차지3) 단점클라이언트가 커넥션 오청할 때마다 클라이언트의 용량만큼 메모리가 필요하므로 메모리 과부하가 올 수도 있음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올린 프로그램을 CPU를 통해 처리하는 시간이 필요함데이터 요청이 있을 때만 데이터 처리를 하는데 대기해야 하므로 메모리 낭비된다.=> 궁극적으로, 시간과 메모리가 낭비되니 비효율적이다. 2. Client/Server 구조 (C/S구조), 3Tier 아키텍처의 등장 개념 Client : request(요청)를 보내는 프로그램..

IT Etc 2023.08.29

Spring Framework 특징 및 기본 개념

Spring 설정 파일 Server.xml 경로 : tomcat 이하 Context 태그 path="/{프로젝트명}" -> localhost:8080 이하에 삽입할 루트 경로를 의미 -> path="/" 로 변경시, localhost:8080/{파일경로} 로 해당 파일에 접근이 가능하다. Resource 태그 DB Connection 관련 부분 web.xml 경로 : WEB_INF 이하 Servlet 태그 Servlet-mapping 태그 이하 servlet-name 에 선언되어 있는 dispatcher 이름을 따라간다. Servlet-mapping 태그 (1) dispatcher -> dispatcher 의 이름을 선언 (2) *.do -> url 패턴이 무엇으로 끝나는지 선언 -> .do 의 패턴의 ..

Server/Spring 2023.08.23
728x90